주석

불교가 한국에 공식적으로 수용되었던 시기는 4세기 말이다.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에 중국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순도(順道)라는 승려와 더불어 불상과 경전을 보내 온 것이 처음이었다. 2년 뒤인 374년에는 진나라의 승려 아도(阿道)가 고구려로 왔다. 소수림왕은 그 이듬해 봄에 성문사(省門寺)와 이불란사(伊佛蘭寺)를 세우고 순도와 아도를 각각 그 절에 머물도록 하였다. 이 두 절은 우리나라에 세워진 최초의 절이다. 백제에는 384년(침류왕 1)에 동진(東晉)으로부터 마라난타(摩羅難陀)라는 승려가 와서 불법을 전하였다. 한편 신라에는 눌지왕 때(417~458) 고구려로부터 묵호자(墨胡子)가 신라의 일선군(一善郡-善山)에 들어와 모례(毛禮)의 집에 기숙하면서 불법을 전하였고, 이후 소지마립간 때에는 고구려에서 아도(阿道)가 들어와서 불법을 전도하였으나 모두 국가적 공인을 받지 못하였다. 법흥왕대에 비로소 국가가 불교를 인정했다. 527년(법흥왕 14)에 이차돈(異次頓)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고, 529년에는 영(令)을 통하여 살생이 금지되었다. 삼국시대에 수용되었던 불교는 ‘인과적(因果的)’ 교리로서의 불교 또는 ‘구복(求福)’으로서의 불교였다. 이는 재래의 토속신앙과 융합된 것이었다. 신라에서 고유한 성지(聖地)로 인식되었던 천경림(天鏡林)에 신라 최초의 절인 흥륜사(興輪寺)를 창건하였던 것은 이 같은 토속신앙과의 자연스러운 융합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불교문화가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한국불교는 교리적인 발전은 물론 중국과 일본에 끼친 영향력도 상당하였다. 고구려는 승랑(僧朗)이 중국으로 가서 삼론학(三論學)을 공부한 뒤 중국 삼론종(三論宗)의 종주(宗主)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삼론(新三論)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여 확립시켰다. 또한 혜편(惠便)·혜자(惠慈)·승륭(僧隆)·담징(曇徵)·혜관(慧灌)·도등(道登)·도현(道顯) 등은 일본 포교에 힘을 기울인 승려들이었다. 백제에서는 율종(律宗)이 중심이 되었다. 526년(성왕 4)에 겸익(謙益)이 인도에 갔다가 돌아와서 범문(梵文)으로 된 율문(律文)을 번역하여 72권으로 엮었으며, 담욱(曇旭)과 혜인(惠仁)은 그 율에 대한 소(疏) 36권을 지어 왕에게 바쳤다. 한편 많은 승려들이 일본으로 건너가서 불교 포교 및 예술의 발달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성왕(聖王)은 554년에 담혜(曇惠)·도심(道深) 등 16명의 승려들을 일본에 보내어 교화활동을 하게 하였다. 또한 557년(위덕왕 4) 경론과 율사(律師)·선사(禪師)·비구니·주금랑(呪禁朗)·불공(佛工)·사장(寺匠) 등을 보냈고, 588년(위덕왕 35)에는 불사리(佛舍利)와 승려·사공(寺工)·화공(怜工)·와장(瓦匠) 등을 파견하였다. 일본에서는 선신니(善信尼) 등의 승려들이 백제로 건너와서 3년 동안 계율을 배우고 돌아가기도 하였다. 신라에서는 진흥왕대로부터 진덕여왕에 이르기까지 불교왕명시대(佛敎王名時代)라 불릴 만큼 불교의 영향력이 지대하였다. 진평왕의 이름이었던 백정(白淨)과 왕비의 이름이었던 마야부인(摩耶夫人), 그리고 진평왕의 아우 백반(伯飯)과 국반(國飯) 등은 석가족의 왕명들을 그대로 따온 것이다. 이것은 왕즉불(王卽佛)의 사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 수양단체로 이해되는 화랑도(花郞道)는 불교의 미륵사상(彌勒思想)과 전륜성왕사상(轉輪聖王思想)을 기본으로 하였다. 미륵선화(彌勒仙花)와 화랑 김유신(金庾信)의 용화향도(龍華香徒) 등과 같이 불교를 통하여 앞으로의 신라 사회를 이끌 사회적 지도자를 양성하였다. 한편 고승으로는 진평왕 때에 걸사표(乞師表)를 쓰고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설하였던 원광(圓光), 선덕여왕 때에 당나라 현장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커다란 맥을 형성하였던 원측(圓測), 신라 신인종(神印宗)의 종조(宗祖)인 명랑(明朗), 신라 불교를 재정비하고 발전시켰던 자장(慈藏) 등이 있다. 특히 자장은 대국통(大國統)으로서 국내의 교단을 정비하고 승단(僧團)의 기풍을 쇄신하였다. 또한 황룡사에 9층탑을 건립하여 신라를 둘러싼 9개국의 침략을 막아 삼국을 통일하고 신라의 번영을 기원하였다. 이는 불국토신앙(佛國土信仰)이 정립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