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구석기시대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인류가 연모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약 300만 년 전이며, 이 시기부터 빙하가 물러간 약 1만 년 전까지를 구석기시대라고 한다. 그래서 인류가 살아온 전체 역사의 거의 대부분은 구석기시대를 포함한 선사시대에 속한다.1)

 

구석기시대는 지질학적인 연구와 동·식물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각 시기마다 사용되어온 석기의 발전에 따라서 시기를 구분한다.

전기 구석기는 인류가 연모를 처음 사용한 시기부터 약 12만 년 전의 마지막 간빙기가 시작되는 때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연모를 만드는 데 가장 초보적인 수준이었던 남쪽 사람 원숭이(Australopithecus)가 찍개를 만들어 썼으며, 그 뒤 약 100만 년 전쯤에 곧선사람(Homo erectus)이 출현하면서 더욱 발달되고 다양한 연모들을 만들어 쓰게 되었다.

 

중기 구석기는 마지막 빙기의 중반까지인 약 12만 년 전부터 3만 5천 년 전까지이다. 이때는 앞 시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석기 제작 방법에 혁신이 일어난다. 이 시기의 주인공인 슬기사람(Homo sapiens)은 매우 빠른 속도로 문화를 발전·진화시켜 왔으며, 당시의 여러 조건에 적응을 잘하였다. 이들이 만든 연모는 종류가 다양하고 훌륭한 석기를 만들었는데 주로 주먹도끼, 뚜르개, 찍개, 자르개, 긁개, 톱니날석기, 홈날석기 등이 있다.

 

후기 구석기는 빙하가 물러가는 시기로 약 3만 5천 년 전부터 1만 년까지이다. 슬기슬기사람(Homo sapiens sapiens)이 나타나 앞 시기의 인류보다 수준이 높은 우수한 문화를 발달시키면서 새기개, 돌날, 돌날몸돌 등의 훌륭한 기술이 필요한 석기를 제작하였다. 아울러 사실적인 예술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구석기 사람들은 자연환경의 제약을 많이 받으면서 살림을 꾸렸고 당시 사람들의 생활모습은 이런 자연에 대한 적응, 이용, 정복의 여러 모습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시기의 자연환경은 빙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흔히 빙하시대라고도 부른다. 빙하의 영향으로 지구상의 온도는 앞 시기에 비하여 약 10℃ 정도 내려갔으며 북반구의 1/3 정도는 얼음으로 덮였다. 이런 빙하의 출현은 자연환경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는데 특히 동·식물군의 생태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빙하는 또한 바닷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지형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바닷물이 얼음으로 바뀌면서 바닷물의 높이는 매우 낮아져 지금보다 130~160m쯤 내려가 물속이었던 지역이 육지로 변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중국대륙과 연결되었으며 동해에도 커다란 호수가 생겼다.

 

구석기문화를 이룩한 사람들은 한곳에서 정착생활을 하지 않고 짐승을 사냥하고 열매를 채집하면서 먹거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일정한 범위 안에서 옮겨다니는 생활을 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작은 무리를 지어서 다녔는데 일시적으로 머물던 곳은 물줄기 옆이나 동굴 같은 비교적 조망이 좋은 곳이다.

구석기시대의 연모에는 돌을 떼어서 만든 뗀석기(打製石器), 짐승뼈나 뿔로 만든 뼈연모, 뿔연모, 나무로 만든 나무연모 등이 있으며,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 뗀석기이다. 뗀석기를 만든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석기 만들기에 좋은 돌감을 미리 골라 쓰임새에 알맞은 형태의 석기를 만들었으며, 이것은 인류의 진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뗀석기는 나무를 자르고 베는 데 사용하였으며, 짐승을 사냥하고 가죽을 벗기거나 고기를 바르고, 뼛속의 골수를 빼먹는 데도 쓰였다.

최근까지 한반도에서 구석기 전통의 유물이 발견된 곳은 300여 곳이며, 이 가운데 60여 곳이 발굴 조사되었다. 또한 경기지역에서도 활발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지금까지 50여 곳에서 구석기 전통의 뗀석기가 발견되었다.

 

여주지역에서는 최근 전역에 걸쳐서 광역지표조사가 실시되어 모두 5곳의 구석기유물 출토 지점이 보고되었다. 이 지역의 구석기유적은 남한강을 중심으로 강안에 연접한 구릉 위에 대부분 위치하는데, 주로 고기하성층과 그 위의 갱신세층(토양쐐기층)에 발달하여 있다. 강안을 따라 형성된 유적으로는 여주시 단현동에서 몸돌·여러 면 석기·찍개·톱니날 등이 나왔고, 능서면 왕대리의 영릉 뒤 갱신세 퇴적층에서는 격지가 수습되었다. 또한 남한강과 가까이 형성된 하안대지로 연결되는 능서면 내양리와 백석리에서는 찍개, 주먹도끼, 여러 면 석기 등이 발견되었다.

 

여주지역에서 조사된 이러한 석기들이 출토되고 있는 퇴적 양상은 비교적 갱신세 층이 잘 발달된 한탄강 유역의 연천 전곡리·남계리, 파주 금파리·가월리 등과 남한강 유역의 양평 병산리와 비슷하여 주목된다.

 

그런데 주변의 양평과 충주, 원주 등지에서 구석기 전통을 지닌 뗀석기 출토지역이 많이 나와 남한강가에 위치한 여주지역에서도 앞으로 유적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최근 남한강을 중심으로 제4기 갱신세에 대한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많은 단구(段丘)와 유물퇴적층이 발견되고 있어서 주목된다.

여주지역에서 지금까지 발견·조사된 구석기는 대개 다음과 같다.2)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