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사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
하거리 28호 횡구식 석실분 평면도
여주 하거동 방미기골에서 발굴 조사된 석실분 중에서 횡구식으로 분류한 것은 연도가 벽석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벽의 일부를 비워두고 이를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횡구식 석실분도 입지 조건은 횡혈식과 큰 차이가 없이 대체로 야산의 남면 편평대지에 축조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남면 대지가 점유된 이후에는 경사가 비교적 가파른 곳에 등고선 방향으로 묘광을 파고 횡구식 석실분을 많이 축조하였다. 횡구식 석실분 묘광의 깊이는 횡혈식보다 현저하게 얕았다. 깊이가 가장 깊은 것이 1.28m에서 1.2m, 1.05m에 이르고, 얕은 것은 32cm밖에 되지 않았다. 그리고 횡구식 석실분의 묘광 깊이는 대부분 1m 미만이었으며 평균 깊이는 0.895m였다.
횡구식 석실분의 경우 벽면 축조 등 구조적인 측면에서 횡혈식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없다. 벽면을 위로 쌓아 올리면서 내만시키는 등, 그리고 평천정에 덮개돌도 장대석을 많이 이용한 것 등은 거의 동일하다. 단지 위에서 본 것과 같이 묘실 바닥의 깊이가 상당히 얕아지는 것과 평면 형태가 조금 다른 것이 차이점이다. 즉 횡혈식 석실분들의 평면 형태는 방형과 특히 장방형이 많은데 횡구식은 세 장방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타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양도 다소 있다.
무덤 장축의 방향은 남북이 주축이 되면서 동쪽 혹은 서쪽으로 20~40도 기운 것이 50%, 그리고 동서가 주축이 되면서 남북으로 10~30도까지 기운 것이 50%를 차지하고 있다. 횡구식 석실분이 횡혈식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시상대의 수이다. 횡혈식은 시상대가 최고 3개까지 있고 단축에 설치된 곳도 있으나 횡구식은 대체로 많이는 2개, 그리고 1개가 대부분인 경우가 많고 단축 시상대가 설치된 예는 하나도 없다.
횡혈식 및 횡구식 석실분에서 출토된 부장품의 종류와 수에서는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토기들은 물레로 성형되었으며 표면에 특별한 문양은 시문되지 않았다. 색상은 적갈색 연질이 많고 기형은 평저 광구호에 외반된 구연을 가진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회색 경질의 병, 장경호 등의 토기들도 출토되었다. 그 이외에 굽다리 접시, 뚜껑, 잔 등등 다양한 토기들과 고사리 모양 파수부편도 수습하였다. 대표적인 토기의 크기를 보면 대체로 높이 5.74~15.55cm(평균 11.66cm), 폭 11.60~16.97cm(평균 13.97cm), 기벽의 두께 0.42~0.75cm(평균 0.59cm), 무게 240~867g(평균 479.3g)이다.
한편 발굴된 토기들 중에는 입술 부분이 깨진 것들이 다수 있는데 이것은 무덤을 축조하고 부장품을 넣으면서 사람들이 고의적으로 깨어서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여주 매룡동 용강골에서도 관찰된 바 있다. 매장시 부장품을 납입하기 전에 토기나 공구, 무기 등의 일상용구를 깨트리거나 구부리는 등 의도적으로 훼손시키는 것은 훼기습속으로 일컬어진다. 이러한 의식은 북방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진 습속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토기를 부장하면서 왜 토기의 일부를 파괴하고 넣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이러한 장례의식의 풍습은 북방지역이나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일어났던 현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여주 하거동에서 발굴된 석실분의 벽면에 그을림이 관찰된 것도 장례시에 실시한 의례 행위의 하나로 묘실 내에 불을 지폈던 것이 아니었나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