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여주 상교리 석실묘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경기도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된 고려시대의 석실분으로 상방하원형이란 특이한 구조를 지녔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북내면 상교리 산 46-1에 해당되는데, 고달사지의 뒷산에 위치한다. 유적은 국보 제4호인 고달사지 승탑에서 산능선을 따라 500m 정도 오르면 보호철책 내에 정비되어 있는데, 무덤 서쪽에는 연도폐쇄석이 놓여져 있다.

이 고분의 발굴작업은 1983년 11월~12월 한양대박물관 발굴단에 의해서 조사되었는데, 하부의 석실평면은 원형이고 연도가 달려 있으며, 상부는 네모난 방형의 2층기단으로 된 특이한 구조임이 밝혀져 그 구조상의 특징을 살려 ‘상방하원석실묘’란 명칭이 붙여졌다.

지상구조는 2층의 제단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기단 1층의 규모는 동서가 442cm, 남북이 412cm, 높이 46cm로 장방형을 이루었고, 기단 2층은 동서가 322cm, 남북이 280cm, 높이는 50cm이다. 기단하부의 석실은 돌을 쌓아서 평면원형의 현실과 평면장방형의 연도를 만들었고, 평면의 모양은 열쇠구멍 모양을 이루고 있다. 원형의 현실 바닥 직경은 평균 163cm이며, 현실 벽의 높이는 167~175cm, 연도의 크기는 남북방향 약 220cm이고 넓이는 90cm이다. 현실의 천장은 대형의 편편한 돌 2매로 덮였는데, 남쪽 부분의 돌은 넓이 130cm, 두께 25cm 정도의 규모이다.

유물은 현실 내에서 청동숫가락 1점, 철제촛대 1점, 철제관정 40여 점, 인골편, 척골, 동물뼈 등이 확인되었으며, 기단석 주변에서 완형의 토기편병 1점을 비롯하여 백자편·와편 등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기단주위와 기단석사이, 석실내부에서 발견된 편들을 수습하여 복원한 청자상감운문대접이 한 점이 보고되어 있다. 여기서 관정이 다수 확인된 사실은 장제(葬制)에서 다비를 하지 않고 시신을 관에 넣어 매납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동물뼈가 견골(犬骨)로 보고되었는데, 고구려 벽화고분에서 개가 무덤문을 지키는 그림과 연결할 때 흥미로운 점이다.

발굴보고자는 청자상감운문대접에서 운문과 여의두문이 연속적으로 상감된 점, 색은 청색보다는 회청색에 가까운 점, 바닥에는 모래받침을 하였던 점 등을 들어, 이 청자의 제작시기를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넘어가는 중간단계로 보고, 이를 통해 고분의 축조시기를 대략 고려말로 보았다.

그러나 상기 청자가 현실내부와 기단부분의 것을 접합하여 복원한 것임을 감안할 때, 축조당시에 매납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농후하므로, 그것을 통해 고분의 축조시기를 추정하는 것은 일단 재고해볼 여지가 있다. 오히려 현실 밖에서 출토되었지만 원래의 매납상태로 출토된 완형의 편병이 고려전기로 편년되는 사실1)과 이 고분이 고달사지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녔고 고달사지가 고려시대 후기에는 페사되었던 점을 통하여 볼 때, 그 축조시기는 오히려 고려 전기인 11세기 전후일 가능성도 충분하다.

한편, 이 무덤 현실상부에 있는 방형기단은 일견 불탑의 기단을 연상시키는데, 이런 묘제가 발해지역에서 정효공주묘탑, 마적달묘탑, 영당탑 등에서 확인되는 사실도2) 간과할 수 없다. 즉 이 고분의 방형기단은 무덤 위에 탑을 올린 발해묘탑(渤海墓塔)에서 그 아이디어를 도입한 것으로 파악되며, 결국 북방요소가 가미된 불교유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