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서원의 문중화와 동족마을의 발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변화된 양상 가운데 하나가 동족마을의 발달이었다. 동족마을은 대체로 하나의 지배적인 동성동족(同姓同族) 집단이 특정 마을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집단적으로 거주해온 마을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같은 동족마을이 발달하게 되는 데에는 당대 사회경제적 변화와 사족중심의 향촌사회 지배질서의 변동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1)

 

우선 재지사족 가운데 조선후기 경제적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여 몰락하는 계층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곧바로 양반 내부의 경제적 편차로 이어졌다. 즉 조선전기 토향적(土鄕的)인 성격이 강했던 사족들 중 많은 숫자가 양란을 경과하면서 전쟁으로 인해 지주로서의 물적 기반을 상실한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그 복구 과정에서 기득권을 지키려는 성씨들간의 이해관계를 둘러싼 대립이 극심해 지면서 자연스럽게 부의 재편(再編)이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지사족들은 유력 가문을 중심으로 결속을 서둘렀으며, 그것이 동족마을 형성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 하나 동족마을의 형성 배경으로 중앙정부의 향촌지배정책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양난 이전 재지사족들은 향촌사회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사족세력들의 명부(名簿)인 향안을 만들어 운영에 적극 반영하였다. 즉 향안에 기록된 인물과 그 족적인 배경을 토대로 향회를 운영하여 실질적으로 향촌사회의 여론을 주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사회경제적 이해관계를 관철시켜나갔다. 뿐만 아니라 향촌사회에서 지켜야할 규정을 담은 향규(鄕規)를 만들어 향임층들은 물론 아전·서리 및 하층민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두 차례 전쟁을 경과하면서 사족들의 향촌사회 장악력이 현저하게 줄어들자 중앙 정부에서는 수령을 매개로 한 국가-수령-사족으로 이어지는 향촌지배체제 대신에 새로운 동반자로 신향세력을 끌어들임으로써 관주도의 일원적 지배체제를 강화해나갔다. 이에 따라 기존의 향안과 향규는 무력화되었으며, 향회는 수령의 부세정책의 자문적인 기구로 그 위상이 전락되었다.2)

 

이 같은 위기국면에 대처하여 사족들은 기왕의 공동대응방식에서 벗어나 동족마을을 중심으로 한 혈연적 유대강화를 통해 지배력을 유지해나가려 했다. 그 결과 조선후기 사족들은 과거 향안·향규·향약 등과 같은 일향(一鄕)적 지배보다는 혈연적인 족계(族契)를 만들어 문중의 결속력을 확보하고, 혹은 지연(地緣)과 혈연적인 촌락을 중심으로 자기방어를 모색하였다.3) 그런데 동족마을이 등장하는 과정에서 상속법의 변화가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조선전기 이래로 유지해 왔던 자녀균분(子女均分) 상속은 부의 분산으로 한 집안의 경제력을 위축시킬 수 있는 요인을 안고 있었다. 실제로 이로 인한 가문의 몰락현상이 일어나게 되자 재지사족들은 가부장적(家父長的) 종법(宗法)을 활용한 적장자(嫡長子) 중심의 상속체계를 확립하여 부의 분산을 억제해나갔다. 이는 자연스럽게 가문의 결속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즉 촌락 재산의 대부분이 종가(宗家)로 모아지면서 이성잡거식(異姓雜居式)의 오랜 관행이 점차 소멸되면서, 동성동족 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동족마을의 결속이 강화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동족마을의 등장은 향촌운영방식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족중심의 향촌지배체제가 이완되고 신향세력의 도전이 거세지는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사회경제적 이해관계를 보존하기 위해 동성동족을 기본단위로 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기관으로 서원(書院)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본래 서원은 특정지역에서 학연(學緣)·지연을 매개로 깊은 관계성을 갖고 있는 유학자의 학문적 위업을 기리는 목적에서 설치되었다. 따라서 서원에는 두 가지 기능이 있었다. 그 첫 번째가 향사(享祀)였으며, 두 번째가 강학(講學)의 기능이었다. 전자를 통해 선현들의 학문적 위업을 기려 나갔으며, 후자를 통해서는 사대부지식인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여 관료학자로 거듭날 수 있는 위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사족들은 서원을 통해 향촌사회 내 피지배층을 교화시키는 기관으로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앙정계에서 관인유자(官人儒者)로 군림하여 자신들이 추숭해 마지않는 선학(先學)의 현실지향을 국정에 반영해나갔다.

 

이처럼 서원에는 일차적으로 재지사족의 사회경제적 이해관계를 보존하는 역할과 목표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사족지배질서가 위협을 받고 있었던 조선후기 상황에서 더욱 강화되었으며, 특별히 혈연을 중심으로 조성된 동족마을이 발달하면서 서원의 문중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진전되었다. 즉 사족 세력은 서원 혹은 사우(祠宇)조직을 활용하여 상실되어가는 지배력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문중서원은 사족간의 유대관계와 지위를 보장해주던 향안이 폐기되고 향권에 도전하는 신향세력이 등장하여 구래의 특권을 위협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군현단위 지배보다 혈족적 보장을 꾀하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 문중서원은 18세기 중엽 이후 크게 성행하여 엄청난 증가세를 보였으며, 18세기 말 이후 이르러서는 많은 문중서원들이 조상숭배는 물론 이를 통한 족적인 결속력의 확보와 그 구현이라는 현실적인 이해관계를 관철시켜나가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4)

 

그런데 문중서원의 남설(濫設)은 사족간 내부분열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성리학적 사회교화와 지배이념의 보강을 목적으로 국가의 지원 아래 발전할 수 있었던 서원이 사족들의 문중기반과 향촌사회에서의 지배력 강화에 동원되면서 함부로 설립되는 경향은 그만큼 향촌사회에서 사족의 지위가 위태로워졌음을 반증하는 것이었다. 문중서원은 교화와 선현봉사(先賢奉祀)의 기능보다 문중의 우위권 경쟁이나 사회경제적인 권력기반을 다지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서원의 건립과 사액(賜額), 증설과 이전, 경제적인 기반의 확보 과정에서 사족간의 대립을 초래하여 사족지위의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