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사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
복조리
설날은 한 해의 머리 날이므로 세수(歲首) 또는 연수(年首)라 부른다. 또한 1년의 운수가 그해 첫날인 설날에 달렸다고 생각하던 옛사람들은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모든 일에 조심하여 부정타지 않도록 하였다. 그래서 설날은 모든 것을 삼간다는 뜻으로 신일(愼日)이라 부르기도 한다. 설은 상원(上元), 단오(端午), 추석(秋夕)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지만, 그 가운데서도 가장 큰 명절로 친다.
① 차 례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머리를 곱게 빗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이렇게 설날 아침 새 옷으로 몸을 치장하는 것을 ‘설빔’이라 한다. 옛날에는 모두 직접 집에서 만들어 입었으나 요즘에는 깨끗하고 단정한 옷으로 미리 사둔 것을 입는다. 어른들은 양장을 새로 사 입기도 하지만, 대개 한복을 잘 손질해두었다가 입는다. 아이들 역시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새 양말을 신으니, 어린아이들은 설빔으로 하여 설이 더욱 기다려지고 즐거워진다.
설날 아침에는 원근에 흩어져 있던 자손들이 모두 모여 제를 올리는데 이것을 차례(茶禮)라고 한다. 차례는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4대조까지 지낸다. 차례상에 올리는 제수는 보통 기제사와 같으나 세찬(歲饌)인 떡국은 반드시 올린다. 남자들은 옷을 단정히 입고 모든 일가친척과 함께 사당에서 제를 올리는데, 사당이 없는 집에서는 대청이나 안방에서 지낸다. 신주가 있으면 신주를 모셔다가 지내고, 신주가 없는 집에서는 지방(紙榜)을 써서 붙여놓고 지낸다. 한편 요즘은 지방 쓰는 것을 번거롭게 여기는 까닭에서인지 간혹 사진을 놓고 지내는 집도 있다. 차례가 끝나면 ‘음복주(飮福酒)’라 하여 차례상에 올렸던 술을 나누어 마시는데, 술을 잘 마시지 못하는 여자들도 이 음복주만큼은 조금씩 맛을 본다.
② 세배·성묘
차례가 끝나면 그 자리에 모인 집안 어른들에게 절을 올리는데, 이를 세배(歲拜)라고 한다. 세배를 하면 세배를 받은 어른들은 세배를 한 사람의 상황에 맞게 덕담(德談)을 한다. 이를테면 혼기가 찬 사람에게는 “올해는 장가가야지” 한다든가, 시험을 앞둔 사람에게는 “올해는 공부 열심히 해서 꼭 합격해야지” 하는 것인데, 보통 건강과 행운을 비는 덕담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기도 한다.
옛날에는 일가친척에게는 거리가 아무리 멀다 하여도 꼭 찾아가 세배를 하였으며 이것을 거르면 사람 구실을 못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래서 아주 먼 곳이라 하여도 보름(15일) 안에 찾아가 세배를 하면 허물될 것이 없었다. 그리고 꼭 일가친척이 아니더라도 시골에서는 마을의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일일이 세배를 하였는데, 요즘에는 이와 같은 풍속은 사라져 가고 있다.
설날 아침 어른께 세배를 드리는 것과 같이 차례가 끝난 후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를 한다. 차례 때 쓴 제수나 따로 마련한 주·과·포를 들고 가서 절을 한 후 음복한다. 정초의 성묘는 설날 당일이나 그렇지 않으면 대개 보름 안으로 한다.
③ 복조리
설날 이른 아침에 조리를 사면 1년 내내 복이 있다고 하는데, 이때 사는 조리를 ‘복조리’라고 한다. 예전에는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면 조리장수들이 마을 골목골목을 돌아다니며 복조리를 사라고 외치고는 했다. 복조리는 일찍 살수록 좋다 하여 서로 앞다투어 산다. 사들인 복조리는 두 개를 엇갈리게 묶어서 안방 문 위 벽에 걸어놓는다. 그러면 조리장수들은 대개 10일 이후에 와서 돈을 받아 간다.
북내면 신남리 김화식(남, 67세) 집에서는 복조리 안에 돈을 넣어 두는데, 이는 재산이 불어나라는 뜻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다. 능서면 마래리 박영자(여, 61세)도 복조리에 쌀이나 돈을 넣어두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이처럼 조리장수가 마을에 들어와 복조리를 던져놓고 가면 그것을 사서 걸어두었다. 조리는 ‘복조리’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복이 들어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사서 걸어두기도 했지만, 실제 옛날에는 쌀을 이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생활필수품이기도 하였다. 요즘은 그리 소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전 복조리 사는 풍습이 남아 있어 도시에서도 종종 복조리를 팔러 다니고 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파트 단지에서도 보면 언제 조리장수가 다녀갔는지 조리를 현관문에 걸어놓고 가면 처음 갖다놓은 조리는 대개 집 안으로 들여놓는다. 그러면 조리장수가 나중에 와서 돈을 받아 간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