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상량고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상량고사는 기둥 위에 보를 얹고 그 위에 마룻대를 놓을 때 올리는 제의로서 건축의례 중 가장 성대하게 지낸다. 양옥이나 빌딩과 같은 현대식 건물에는 실제로 상량이라고 할 만한 부분이 없음에도 건축주가 이 고사를 올리는 것으로 미루어 이 고사에 대한 관념이 얼마나 뿌리 깊은가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상량고사의 제물은 주인의 경제적 형편에 따라 천차만별이나 다른 고사보다도 풍성하다. 보통 돼지머리, 삼색과일, 떡, 포, 쌀, 술 등을 차리며, 부잣집에서는 통돼지, 쌀가마니, 무명, 모시, 광목 등을 필로 쌓아두기도 한다. 목수들은 이러한 제물을 비롯하여 돈이나 피륙은 물론이고 바닥에 깔았던 새 돗자리까지도 차지한다. 또 주인이나 친척들을 상대로 ‘그네 태우기’를 한다. 상량대를 바닥에서 1미터쯤 올려 끈으로 고정시킨 것이 그네이다. 목수들은 주인을 부추겨서 그 위에 앉히고 줄을 흔들면서 부귀공명을 누리고 자손도 번창하라는 덕담을 늘어놓는다. 주인은 상량채(上樑債)라 하여 돈을 마룻대에 얹어 놓거나 백지에 금액을 써 붙인다. 경기도 여주지역에서는 “돈을 내야 상량이 올라간다”고 하여 주인이나 친척들로부터 돈을 추려내기도 한다. 위와 같은 재물과 돈은 모두 목수의 차지이기에 상량일을 ‘목수 생일날’이라고도 한다.

마룻대는 대공 좌우 양쪽에 올라앉은 목수 두 사람이 중앙에 잡아 맨 무명의 한 끝을 각각 나누어 쥐고 들어올린다. 상량을 올린 다음 마룻대에 걸쳐 앉은 목수는 장닭의 목을 자귀로 치면서 “아무 날 아무 시에 상량하였오” 하고 소리친다. 주인은 떨어진 닭 목을 들고 네 기둥에 피 칠을 한 다음 떨어졌던 자리에 묻는다.

상량에는 쌀 한 줌 가량이 담긴 백지와 북어, 실타래, 돈 등을 무명 자투리로 매어둔다. 이 중에 북어 몸통은 토역장이나 기와장이가 술안주로 먹는다. 이제부터는 벽을 바르고 지붕을 얹는 일이 남았기에 그 일을 맡는 장이를 높여주는 것이다. 상량에 건 쌀은 집 돌날 꺼내 밥이나 떡을 해먹는다. 그러면 집안이 부자가 된다.

상량에는 집을 지은 해, 달, 시, 좌향, 축원문 등 상량문을 새긴다. 상량문 좌우 양끝에는 용(龍)자와 귀(龜)자 또는 두(頭)자를 서로 마주 대하도록 써둔다. 용과 거북이는 수신(水神)으로 이렇게 적어두면 화재가 나지 않는다.

집을 지은 연도는 황제의 연호나, 소화(昭和), 단기(檀紀), 서기(西紀)로 표시되어 있다. 황제의 연호를 쓴 집은 일제시대 전에 지은 집이고, 소화는 일제시대, 단기와 서기는 해방 후에 지어진 집이다. 이는 역사적인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상량문에는 龍자와 龜자를 쓰는데 용자는 권력을, 귀자는 이 집을 짓고 오래 살라는 의미라고 한다. 그러나 용자와 귀자를 쓰는 이유는 두 동물이 수신적인 존재로 집안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밖에 “하늘의 해, 달, 별님 감응하시어 인간에게 오복을 내려주시오(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라는 축원 문구도 보인다.

상량대의 방향은 무척 중요하다. 만약 상량대의 방향이 잘못되면 그 집안이 망하고 사람이 죽기도 한다고 한다. 상량대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위는 머리이고, 아래는 다리로 보아, 주인의 잠자리를 기준으로 뿌리 쪽이 아랫목을 향하도록 한다. 상량문구로 보아서는 龍자를 적은 쪽이 상량의 머리에 해당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