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맞두레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가뭄이 들면 메마른 논이나 밭에 물을 대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공급해야 했다. 이때 너른 들이나 밭에 물을 퍼올리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가 있는데, 가장 단순한 형태가 두레이다. 그러나 맞두레는 양수기가 등장하면서 그 기능이 상실되었고, 지금은 어렵(漁獵)할 때 연못의 물을 퍼올리는 데 쓴다.

맞두레에는 ‘외두레’와 ‘쌍두레’가 있는데, 외두레는 두 사람이 서서 물을 푸는 것이고, 쌍두레는 외두레 둘이 나란히 서서 물을 푸는 것이다. 두레는 목판처럼 바닥이 좁고 위가 넓은 나무통 네 귀퉁이에 줄을 달아 두 사람이 두 줄씩 마주 서서 잡고 물을 떠올리는 것이다. 나무통이 쉽게 파손되므로 양철통을 만들어 쓰기도 하였다. 줄의 길이는 사용하는 사람의 키나 물이 고여 있는 곳의 깊이에 따라 조절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