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터주신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터주는 집터를 관장하는 신으로, ‘터줏대감’·‘터대감’·‘지신(地神)’·‘후토주임(后土主任)’ 또는 ‘대주(垈主)’라고도 부른다. 터주는 대개 집의 뒤뜰이나 장독대 옆에 세운 터줏자리에 모셔지는데, 작은 단지나 항아리에 햅쌀이나 볍씨를 담아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고깔모양의 주저리를 덮은 것이다. 그리고 주저리가 날아가지 않도록 왼새끼를 꼬아 터주 허리에 두른다. 농사를 지으면 햇곡을 터주에 먼저 바친다. 볍씨를 새로 넣을 때는 제일 먼저 턴 벼를 주부가 키에 까불러서 터주에 넣는데, 묵은 쌀은 밥이나 떡을 해먹으며 복을 빈다. 이때 주저리도 새 짚으로 틀어서 바꾸어 두르는데, 묵은 주저리는 산에 버리거나 마을 성황당에 걸쳐놓아 자연스럽게 없어지도록 한다. 때로는 불에 태우거나 논의 거름으로 쓰기도 한다. 터줏단지에는 벼를 넣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근래에는 벼 대신 동전을 넣기도 하고 벼와 동전을 같이 넣기도 한다.

터주에 대한 고사는 음력 10월 상달에 좋은 날을 잡아서 지낸다. 가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상달고사 때는 대개 콩을 넣은 콩시루떡과 팥을 넣은 팥시루떡을 쪄서 터주와 성주에 올린다. 여주에서도 상달고사를 지낼 때는 지난해에 넣어두었던 곡식을 꺼내어 시루떡을 만들어, 정화수를 그 앞에 떠놓고 촛불을 밝히고 절을 하고 축원을 하는데, 짚을 십자(十字)로 놓고 그 위에 떡시루와 정화수를 놓기도 한다. 이날은 대문 밖에 금줄을 쳐서 잡인의 출입을 막고 문 앞이나 터줏단지 앞에도 황토를 깔아서 잡귀를 쫓고 제주(祭主)는 목욕을 하고 근신을 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