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농악의 명칭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농악이라는 명칭은 우리나라 예능을 한자로 정리할 때 나온 어휘라고 추측된다. 국악은 정악과 속악으로 나뉘는데, 속악 중에서도 ‘농촌의 음악’이라는 뜻으로 쓰인 것 같다. 농악이라는 말이 문헌상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193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된 『부락제(部落祭)』라는 책에서였다. 따라서 농악이라는 말은 일제강점기 때 생긴 말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오늘날 농악이라는 명칭은 흔히 도시인들이 그렇게 부르지만, 농촌에서는 농악을 ‘매구’, ‘풍물’, ‘풍장’, ‘두레’, ‘걸궁,’ ‘걸립’ 등으로 부른다. 그런가 하면 농악을 연주예능으로 보는 경우는 ‘굿친다’, ‘금고(金鼓)친다’, ‘매구친다’, ‘쇠친다’고 하고, 농악기를 통해 말할 때는 ‘굿물’ ‘풍물’이라 부르고 있다. 농악을 종교적 예능으로 보는 경우에는 ‘굿’, ‘매굿’, ‘지신밟기’, ‘마당 밟기’라 하며, 노동예능으로 볼 때는 ‘두레’라 하고, 풍악이나 풍류로 해석하는 경우에는 ‘풍장’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농악의 악기가 금속성악기(꽹과리·징)와 고(鼓)악기(북·장구·소고)로 구성되기 때문에 농악을 ‘금고(金鼓)’라 하기도 한다. 일부 지방에서는 농악을 군악(軍樂)으로 보아 ‘군고(軍鼓)’라 일컫기도 한다. 이와 같이 농악은 그 명칭이 다양한 종합적 예능이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