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경기농악의 특징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경기농악은 경기도를 비롯하여 충청도 그리고 강원도의 영서(嶺西)지방 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농악으로 멀리 황해도나 평안도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경기농악을 아랫다리농악, 즉 삼남농악(三南農樂)에 대하여 스스로 윗다리농악이라 부른다. 경기농악을 엄밀히 구분하면 남부지역 농악과 북부지역 농악이 약간 다르다. 그러나 평택평야(平澤平野)를 중심으로 한 남부 농악이 옛날부터 발달하였으므로 평택과 안성(安城)지방은 두레농악이나 걸립농악(乞粒農樂)이 성행한 곳이 되었다. 특히 안성은 남사당패(南寺黨牌) 농악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경기농악은 마을굿인 대동굿[堂祭]은 하지 않고 지신밟기만 하며, 여름철에는 두레굿(둥기래)을 한다. 그리고 경기농악은 절걸립과 낭걸립패들이 하던 걸립농악이 다른 지방에 비하여 발달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도 전 지역과 충청도에 현존하는 농악은 이러한 걸립농악의 영향을 많이 받은 농악이라 할 수 있다.

경기농악은 다른 지방에 비하여 징과 북의 수가 적고,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으며, 잡색(雜色)은 무동(舞童)과 중애(사미)·양반 등이 있는데, 무동의 수가 많다. 그리고 이천(利川)과 같이, 지방에 따라서는 거북이를 가장한 잡색들도 있다.

복색은 기본적으로는 흰옷차림에 삼색띠를 두르나 지방에 따라서는 청색 조끼를 착용하는 곳도 있다. 그리고 전립이나 고깔을 쓰지 않고 머리수건을 동이는 수가 있으며, 사미와 같은 작은 무동은 흰 장삼을 입고 꽃이 없는 고깔을 쓴다.

쇠가락은 길군악칠채, 덩덕궁이(삼채), 쩍쩍이, 굿거리, 잦은가락 등이 쓰이는데, 길군악칠채는 경기농악에서만 쓰이는 가락이다.

가락은 느리고 빠른 가락을 고르게 쓰며, 쇠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고 암채, 수채가락의 변화를 구사한다.

경기농악의 형식에 있어서 특이한 것은 판굿의 짜임새가 다양하고, 어린 무동들이 추는 깨끼춤과 동리·삼동·곡마당·논고리·맛동리와 같은 다양한 무동타기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판굿의 진행에서 가새벌림과 같은 사각행진법과 당산벌림과 같은 ㄷ자형 놀이 그리고 농부가를 부르는 대목이 있는 것도 특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한편, 충청농악은 가락과 판굿의 짜임새 또는 연기가 대체적으로 경기농악과 같으나, 충남의 논산이나 금산 등 남쪽 지역의 농악은 호남좌도농악과 유사하다.

그러나 충남농악이 경기농악과 다른 점은 마을굿인 당산제(堂山祭)농악을 하는 곳이 있고, 무막대언기(務莫大焉旗)나 풍년축원기(豊年祝願旗)와 같은 두레기(旗)가 있는 점이다. 또한 농악 편성에 있어서 있고, 잡색에는 대포수·각시·양반 등이 있으며, 무동은 어린이가 하지 않고 주로 어른들이 하는 것도 다른 점이라 하겠다.

판굿에는 법고들의 춤인 쩍쩍이나 잽이들 전원이 춤추는 영산다드라기가 있으며, 잽이들이 백 번 절하는 당산채가 특이하다. 또한 고사리꺾기가 있는데, 이것은 호남농악의 달아치기와 유사하다.

그런데, 예능적인 면에서 보면 남부지방의 농악에는 호남좌도농악처럼 상쇠가 꽃상모를 사용하는 부포놀이와 설장구춤이 있다. 이는 호남우도농악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충청농악은 경기농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무동타기는 발달하지 않았으나 무동들의 단체무용인 나부춤(나비춤)이 특이하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