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이포리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여주군 금사면의 지역으로서, 조선시대에는 세곡과 물화를 싣고 풀던 큰 나루터였으며, 이곳을 지나가는 행인들이 배나무 꽃이 활짝 핀 것을 보고 배나무 이(梨)자와 물가 포(浦) 자를 합쳐 이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다른 이름으로는 배개나루, 배나루, 배개 또는 이포진이 있으며, 이포나루(천양나루라고도 불렸음)는 한강 4대 나루 중 하나로 불릴 만큼 번성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수구말, 천양, 근정리, 서원, 뒷골과 흥곡면의 충신동 일부를 병합하여 이포리라 하였다.

현재는 행정리로 분리하여 수굿말, 큰말을 1리로, 근정리 뒷골 서원을 2리로 나누고 있다. 이포(梨浦)라는 지명이 붙은 것은 1914년 이후이고 원래는 이호(梨湖)였다. 조선시대의 문헌에 이호(梨湖)로 표기된 것을 보고 자칫 강천면 이호리로 착각하기 쉽다. 강천면 이호(梨湖)의 원래 지명은 배미[梨山]이다. 배는 산(山)을 뜻하는 것인데 한자로 쓰면서 배 이(梨)자를 쓰게 되어 유래나 전설에 엉뚱한 배[梨]나 배(舟 : 나룻배) 등으로 말하게 된 것이다.

이곳은 ‘배개[山邊]+나루[津]=배갯나루(산 옆에 있는 나루라는 뜻)’, 또는 배나루(梨津), 배개(山)의 뜻을 이포(梨浦)라고 쓰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곳은 옛날 천령(川寧)이 여주로 병합되기 이전 고려 때부터 묵객들의 저서에 으레 시 몇 수씩은 올라 있는 곳이다. 다른 지방의 이름 중에도 배(梨, 舟)자가 붙은 지명이 무수하게 많다. 배말[梨村], 배내[梨川], 배고개[舟峴], 배미, 배안말, 배골[舟谷], 배꼬지[梨花], 배다리[舟橋洞], 배내고개[舟峴] 등 이러한 지명은 모두 산과 관계된 지명인데 모두 이(梨)자나 주(舟)자를 붙인 것이다.

풍고(楓皐) 김조순(金祖淳)의 시 “이호(梨湖)에서 양화(楊花)로 거슬러 가면서”, 동정 염흥방의 시 “침류정 사절”, 둔촌 이집의 시, 목은 이색의 시, 백운거사 이규보, 가정 이곡, 척약재 김구용 외 많은 명인들의 시에 모두 이포(梨浦)가 아니고 이호(梨湖)라고 표기하였다. 또한 나루터면 으레 모래톱(백사장)변이기 마련인데 배자가 붙은 나루터는 배가 바로 산에 닿게 되는 곳을 말한다.

  • 근정리(近汀里) : 천양 남쪽에 있는 마을로 현재 금사면사무소가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 뒷골 : 기천서원 뒤쪽에 있는 마을이다.
  • 새터 : 기천서원 서남쪽에 새로 형성된 마을을 말한다.
  • 수굿말 : 이포에서 오래된 마을 중 하나로 뒷골 북쪽에 있으며, 이포대교가 있는 남한강을 향하여 있는 마을이다.
  • 장터거리 : 큰말 또는 대촌(大村)으로 부르기도 하며, 과거 이포장이 열렸던 장소로 마을의 중심지였다고 한다.
  • 천양(川陽, 天陽) : 원래 이름은 성지매였으며, 이후 술천, 기천, 천령의 순으로 지명이 변하였다. 이포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로 그 역사를 살펴보면 신라 무열왕이 663년에 고구려를 몰아내기 위하여 이곳에 술천성(述川城)을 쌓고 지방 군단인 골내근정(骨內斤頂)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는 천령현을 두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천양에는 현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 마을을 천양이라고 부르는 것은 천령이 변음되어 천양으로 불린 것 같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