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사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움라우트(Umlaut)는 중설모음이나 후설모음인 /으, 어, 아, 우, 오/ 소리가 그 뒤에 오는 모음 /이/나 반모음 /y/의 영향으로 전설모음 /이, 에, 애/로 변화되어 굳어진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이때 /이/ 모음과 변화되는 모음 사이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자음이 개재하여야 하며 이때의 자음은 /ㅂ, ㅍ, ㅃ, ㅁ, ㄱ, ㅋ, ㄲ, ㅇ/ 등이 와야 한다. 그러나 용언인 동사는 /ㄹ/이 개재되어도 실현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움라우트 현상의 생성원인으로는 근대국어로 들어서면서 이중모음들의 단모음화 현상이 일어나 이러한 단모음들이 전설단모음으로 된 후 이에 의한 역행동화가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시기는 대략 18세기로 볼 수 있으며 현재에도 계속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국어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오늘날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규칙을 설정하고 그 규칙에 의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국어의 움라우트 문제는 다음과 같은 제약조건이 있다. 움라우트 현상의 발생은 형태소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과,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에서 일어나는 것 등이다. 일반적으로 형태소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통시적으로 보고, 형태소와 형태소 결합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공시적으로 본다. 여주지역에서의 움라우트 현상은 형태소 내부와 형태소 경계에서 실현되는 것을 살펴본 결과 비교적 활발하게 실현됨을 알 수 있다.
ㄱ) 포기[페기], 아비[애비], 어미[애미],
고기[게기], 도련님[데련님], 볶이다[벢끼다],
들볶이다[들벢끼다], 속이다[세기다], 몸뚱이[몸땡이],
주둥이[주댕이], 몽둥이[몽댕이], 모퉁이[모탱이],
가랑이[가랭이], 지팡이[지팽이], 방망이[방맹이],
곰팡이[곰팽이], 뚱뚱이[뚱땡이], 잡히다[잽피다],
죽이다[쥐기다], 남기다[냉기다], 벗기다[벡기다],
맡기다[맥끼다]
위에서 실현되는 예에서 보이는 /오/→/에/와 /우/→/에/의 현상은 움라우트를 거쳐서 단모음 /에/로 변이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즉 /오/와 /우/에 후속하는 /이/에 의한 역행동화로 실현된 다음에 /에/로의 비원순모음화가 성취된 것으로 본 것이다. ‘포기-푀기-페기, 고기-괴기-게기, 도련님-되련님-데련님, 볶이다-뵊이다-벢끼다, 속이다-쇠기다-세기다’ 등은 움라우트를 거쳐 단모음화로 변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그러나 형태소 경계에서 실현되는 공시적인 현상의 움라우트는 중장년층 이하로 내려오면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청소년층으로 오면 거의 실현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움라우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통시적인 현상의 움라우트도 마찬가지로 중장년층 이하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