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언의 자음군 단순화
- 복사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오늘날 현대국어에서 실현되는 체언의 어간말에 나타날 수 있는 자음군은 아래의 예와 같이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명사 단독형과, 곡용할 때의 음성실현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자음군 | 예[발음] | -이 | -을 | -도 |
---|---|---|---|---|
/ㄳ/ | 몫 [목] | [목씨] | [목쓸] | [목뚜] |
[모기] | [모글] | |||
넋 [넉] | [넉씨] | [넉쓸] | [넉뚜] | |
[너기] | [너글] | |||
삯 [삭] | [삭씨] | [삭쓸] | [삭뚜] | |
[사기] | [사글] | |||
/ㅄ/ | 값 [갑] | [갑씨] | [갑쓸] | [갑뚜] |
[가비] | [가블] | |||
/ㄺ/ | 닭 [닥] | [달기] | [달글] | [닥뚜] |
[다기] | [다글] | |||
흙 [흑] | [흘기] | [흘글] | [흑뚜] | |
[흐기] | [흐글] | |||
/ㄼ/ | 여덟 [여덜] | [여덜이] | [여더를] | [여덜두] |
[여덜비] | [여덜블] | |||
/ㄻ/ | 삶 [삼] | [살미] | [살믈] | [삼두] |
[사미] | [사믈] | |||
/ㄽ/ | 외곬 [외골] | [외고리] | [외고를] | [외골두] |
위의 예들은 여주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군으로 체언 단독형과 곡용할 때의 음성실현형을 나열하였다. 곡용시 따르는 조사로는 /-이/, /-을/, /-도/의 세 가지를 가지고 실현하였으며 음성실현이 불가능하거나 실현되지 않는 것은 표기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여주지역에서 실현되는 체언 어간말 자음군으로는 /ㄳ/, /ㅄ/, /ㄺ/, /ㄼ/, /ㄻ/, /ㄽ/ 등 여섯 개의 자음군이 실현되었다. 그리고 체언 어간말 재구조화는 점점 확산 되어감을 알 수 있는데, /ㄺ/의 ‘흙, 닭’의 경우와 /ㄼ/의 ‘여덟’의 경우, /ㄽ/의 ‘외곬’, /ㅄ/의 ‘값’의 경우이다. 이외의 다른 자음군도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 자음군이 실현되는 음성형과 재구조화된 변이형이 환경에 따라 실현율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공존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어느 쪽이 더 우세하게 실현되느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