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사
-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종결어미는 하나의 문장을 끝맺으면서 말하는 이의 태도에 따라 평서문(서술문) 어미, 의문문 어미, 명령문 어미, 청유문 어미, 감탄문 어미로 나눈다.
① 평서문 어미
평서문은 사실에 대한 인식 내용을 진술, 서술하는 문장으로 평서문을 만드는 어미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다/ㄴ다/는다/라
평서문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어미라고 할 수 있는데 어떤 사실을 표현함에 있어 단정적임을 알 수 있다. 청자경어법의 등급에서 아주낮춤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는 형용사와 서술격조사 어간에 직접 결합하며 ‘-ㄴ다/는다’는 현재시제의 동사에 결합된다. 그리고 ‘-라’는 선어말어미 ‘-더-’ 뒤에 결합된다.
- 바람이 분다.
- 영숙이 이뿌다.
- 이게 우리집이여.
- 집에 가니깐 아무도 읎어.
-(으)께
‘-(으)께’는 표준어의 ‘-(을)께’에서 ‘ㄹ’이 탈락한 상태로 질문이나 완곡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되는 어미로 말하는 이의 의지나 약속을 나타내며 청자경어법상에는 아주낮춤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이따 오께.
- 그건 내가 해께.
- 내가 가지구 가께.
-데
지나간 일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어미로 청자경어법으로는 예사낮춤을 나타낸다.
- 애기가 젖을 잘 먹데.
- 얘가 어제 말했데.
- 아까 보니까 가던데.
-지
이미 알고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짐작해서 진술하는 어미이다.
- 너무 잘 둔 게지.
- 그 사람에 대해서는 내가 잘 알지.
-거덩
‘-거든/거덩’은 ‘당연히 그렇게 된다’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로 연결어미로 사용되는 것이 있지만 여기서는 종결어미에 국한한다.
- 새루 지은 집이 맞거덩.
- 지끔 우리 애가 아푸거덩.
-네
‘-네’는 예사낮춤으로 듣는 이가 자기보다 아랫사람이거나 친구이더라도 나이가 들어 함부로 대하기 어려울 때 듣는 이를 대우해주는 경어법에 사용되는 어미로 자기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난 집에 가네.
- 저기 우리 논이네.
- 바람이 부네.
- 애기 젖 잘 먹네.
-ㄹ쎄
둘 다 말하는 이나 듣는 이가 장년층 이상은 되어야 사용할 수 있다. ‘-ㄹ쎄’는 듣는 이에게 자기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는 어미로 용언 뒤에 올 수 없으며 체언이나 서술격조사 아래에 쓰이는 제약이 있다.
- 저 양반이 이장일쎄.
- 아까 찾던 기 이걸쎄.
-요/유
-아/어, -지, -구만/구먼, -께, -는데, -거든/거덩, -네, -데’ 등에 ‘-요/유’가 통합되어 예사높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친족, 사회적 지위, 계급, 연령의 관계에 있어서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두루 높이는 경어법이라고 할 수 있다.
-ㅂ니다
이것은 일반적인 진술을 나타내는 아주높임의 등급으로 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 바람이 붑니다.
- 비가 옵니다.
② 의문문 어미
의문문은 어떤 사실에 대한 정보 결여에 대해서 듣는 이에게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것으로, 듣는 이에게 판단의 가부나 설명을 요구하는 문장으로 의문문을 만드는 어미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니?
- 얘는 말 잘 듣니?
- 누가 심 시니?
- 어딜 가니?
-지?
어떤 전제된 사실에 대한 확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어미로 의문사가 사용될 때는 막연한 추측이나 의심을 나타내고 의문사가 없을 때는 말하는 이의 의문에 대한 듣는 이의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는 어미이다.
- 선생님, 건강하시지?
- 짜장면을 누가 먹었지?
-(으)까?
이것은 말하는 이의 의사에 대한 듣는 이의 의견을 물을 때 사용되는 어미로, 말하는 이 스스로가 추측이나 불확실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우와 말하는 이 자신의 행동 여부에 대한 듣는 이의 허락이나 지시를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 나하구 가까?
- 낼은 날이 좋으까?
-(으)래/ㄹ래?
‘-(으)래’ 와 ‘-ㄹ래’에서 전자는 말하는 이의 의견에 대한 듣는 이의 의향을 물을 때 사용되는 어미이고, 후자는 말하는 이가 듣는 이의 의향을 물을 때 사용하는 어미로 그 쓰임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너 먼저 먹으래?
- 낼 우리 집에 갈래?
-요?
이것은 예사높임 등급의 의문문 어미로 모음 뒤에 사용된다.
- 낼 비 와요?
- 제 말이 맞지요?
- 영숙이는 낼 가지요?
- 어디 가세요?
-ㅂ니까?
이것은 표준어의 ‘-습니까?’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주높임 등급의 의문문 어미로 아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면장님이 오십니까?
- 어딜 가십니까?
③ 명령문 어미
이것은 말하는 이가 듣는 이로 하여금 말하는 이의 뜻대로 행동해줄 것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주어는 언제나 2인칭이며 현재시제의 동사에만 연결된다. 명령문을 만드는 어미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아라/어라/거라
이것은 아주 강력한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로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아주낮춤으로 무엇을 시키는 뜻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빨리 밥 먹어라.
- 서루 인사해라.
- 일루와(이리와) 앉어라.
-게
이것은 평교간이나 아랫사람에게 명령하는 어미로 현재형만 가능하며 존칭을 나타내는 ‘-시-’와의 결합은 불가능하다.
- 자네 혼저 가게.
- 까꾸로 들게.
-요/유
이것은 예사높임의 등급의 명령문 어미로 현재를 나타내는 시제만 결합이 가능하고 존칭을 나타내는 ‘-시-’와의 결합이 가능하다.
- 고만 빨리 가시요/유.
- 즘심/즌심(점심) 먹으로 가요.
- 가지고 다니믄서 주세요.
④ 청유문 어미
듣는 이에게 어떤 행동을 말하는 이와 함께 할 것을 제안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청유문을 만드는 어미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자
이것은 어떤 행위를 함께 할 것을 권유하는 어미로 존칭을 나타내는 ‘-시-’와의 통합이 불가능하며 동사에만 연결이 된다.
- 우리 용문산 놀로 가자.
- 빨리 가자.
-세
이것은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예사낮춤으로 행동에 옮길 것을 제안할 때 사용되는 어미로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강하게 의식하는 장면에서 실현된다.
- 자, 농담은 고만하구 술 한 잔 하세.
- 우리끼리 가세.
-요/유
이것은 예사높임 등급의 청유문으로 비교적 정중하게 이끌 때 사용된다.
- 빨리 가요/유.
- 어서 해요/유.
⑤ 감탄문 어미
감탄문은 말하는 이가 감탄 또는 감정을 동반하여 진술하는 문장으로 이에 포함되는 어미를 감탄문 어미라고 한다. 감탄문 어미를 만드는 예는 다음과 같다.
-다
- 날이 되게 좋다.
- 아이, 좋다.
-아/어
- 아이구, 추워.
- 아이, 좋아.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