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족보의 종류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개별적인 족보에는 일개 씨족이나 동족을 주 단위로 같은 파(派)의 동족원만을 수록한 파보(派譜)가 주를 이루나, 이밖에도 고을이나 마을의 성씨 구성을 일목에 나타내기 위해 제작된 향보(鄕譜)와 동보(洞譜), 왕실족보인 선원보(濬源譜), 내시들의 족보인 내시보(內侍譜), 노비들의 족보인 노비종친보(奴婢宗親譜), 양반(文武官 및 蔭官)들의 족보를 따로 만든 팔세보(八世譜) 등이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승(家乘, 家乘譜) : 시조 이하 중조(中祖)·파조(派祖)를 거쳐 본인에 이르기까지 직계존속만을 수록한 가첩(家牒)을 말한다. 수록 내용은 고조부 이상은 직계선조만을, 고조부 이하는 전부 수록하여 재종, 삼종까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가승에는 친족성원들의 생일과 제사일을 적어 넣어 가족행사를 기억하는 데 참고하였으며, 자녀의 교육용으로도 사용하였다.
  2. 내외보(內外譜) : 내보와 외보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보는 작성자가 부계(父系)의 직계조상을 밝힌 것이며 체제는 가승과 같다. 외보는 내보에서 나타나는 역대조상의 배우자 하나하나를 대상으로 그 배우자가 소속되어 있는 씨족의 시조로부터 그 배우자에 이르기까지의 계보를 내보와 똑같은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작성자가 자기 직계조상들의 배우자 하나 하나의 내보를 만들어 그것을 한데 묶은 것이 외보가 된다.
  3. 팔고조도(八高祖圖), 십육조도(十六祖圖) : 자기를 중심으로 한 조상을 고조의 대(代)까지 밝힌 가계도로 그 가계도상에 나타나는 고조가 8명이기 때문에 팔고조도라 하는데 자기를 기점으로 위로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즉 자신의 조상을 부, 조부, 증조부 등으로 부계 쪽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모(母)와 그 모의 선계, 조모와 그 조모의 선계 등으로 모든 계통을 다 찾아올라간다. 이러한 형식으로 십육조가 나타나는 십육조도, 10대조 선까지 확대하여 512명의 조상을 밝힌 십세보 등도 있다.
  4. 파보(派譜) : 동일선계(同一先系)의 시조 밑으로 분파된 해당 파계만을 수록하여 편수한 보첩이다. 대동보 작성 때는 각 파문에서 대동보소에 수단(收單)을 할 의무와 책임을 지지 않으므로 청원하는 명단만을 등재하게 되나, 파보 작성 때는 동일 파조의 동족은 빠짐없이 수단을 내서 일에 참여토록 하며 현조의 행적(祠, 齋, 閭, 碑文 등)을 상세하게 수록한다.
  5. 대동보(大同譜) : 한 성씨의 시조, 즉 득성조(得姓祖) 이하 동계혈족의 동족 사이에 분파된 파계를 한데 모아 대동하여 집대성한 족보를 말한다. 각 파의 분파조는 시조로부터 몇세 손이며 어느 대에서 분파되어 파조가 되었는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계통을 수록하기도 한다. 성씨들 중에 북한에 동족이 많은 성씨일수록 대동보 작성을 보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6. 향보(鄕譜) : 마을을 단위로 하여 그 마을의 특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작성된 보첩을 말한다. 경기도 안산 지역은 옛 지명으로는 연성(蓮城)이라고도 하였는데 일대의 주요 성씨들 계보를 적어 편집한 『연성성보(蓮城姓譜)』가 이에 해당한다. 전라도 여수의 경우는 『여수향보(麗水鄕譜)』가 있다.
  7. 남보(南譜) : 당색이 남인(南人)인 인물만을 수록한 족보로서 정치적인 동기에 의해 작성된 파보라고 할 수 있다. 『북보(北譜)』는 북인들의 족보이고 『무보(武譜)』는 무관 집안들의 계보를 모은 족보다.
  8. 족보수단(族譜修單) : 족보 작성을 위해 각 지파별로 지정된 지방유사(地方有司)들이 보첩간행시 등재될 이름이나 행적 등의 내용을 파악하여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수단할 때는 등재인물 수에 따라 명하전(名下錢)이라는 수단금(修單金)이 부과되는데 관(冠, 세대주)과 동(童, 미혼남)에 따라 액수가 다르다.
  9. 종합보(綜合譜), 만성보(萬姓譜) : 주요 씨족들의 계보를 집대성한 종합보로 『씨족원류(氏族源流)』(趙從耘 編), 『제성보(諸姓譜)』(丁時述 編), 『성원총록(姓苑叢錄)』(任慶昌 編),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동국씨족보(東國氏族譜)』, 『청구씨보(靑邱氏譜』(헌종년간에 편성시작), 『백씨통보(百氏通譜)』(具羲書 編, 20세기 초), 『잠영보(簪纓譜)』,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 등이 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