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청소년이란?
  • 복사
  • 해당 서브 사이트명 qr코드

    모바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이 페이지로 바로 접속 할 수있습니다.

‘청소년’이란 뜻에는 사회적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었다. 고대에는 청소년이란 개념 없이 그저 어른의 축소형태로 아동을 이해하였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각 발달단계에 대한 관심과 과학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우리나라도 해방 이전까지는 조혼(早婚)제도로 인해서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바로 넘어가게 되어 청소년기가 없었으며 더구나 청소년 시기의 일반적 특성이나 연령에 따른 단계적 특성들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한 때는 1980년대 후반으로 60~70년대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사회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로 청소년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좀더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청소년 육성정책이 고민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청소년에 대한 공식적인 국가적 관심은 1964년 청소년 보호대책위원회의 발족을 기점으로 한다. 이것이 다시 1977년에 격상되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청소년대책위원회로 바뀌었고, 1987년 청소년육성법이 생기면서부터 청소년육성에 대해 국가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였으며 청소년 전담 행정부서를 두게 되었다. 그리고 1991년 6월 27일 청소년의 건전육성을 위해 1992년부터 2001년까지 10년간 시행될 청소년기본계획과 그 근거법으로서 1991년 12월 17일 「청소년기본법」을 제정하여 1993년 1월 1일부터 발효되고 있다.

청소년기는 일반적으로 사춘기와 청년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이어지는 과도기적인 시기를 의미하며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중심으로 청소년기를 정의하기도 한다. 청소년기는 새로운 가치관과 세계관을 형성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부모의 가치관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하여 갈등하는데 이때는 부모보다 친구가 영향을 주는 시기이기도 하다. 정서가 불안한 청소년일수록, 그리고 애정결핍이 심할수록 친구의 영향을 더 크게 받게 된다. 가정에서 연대감을 갖지 못할 경우 또래집단을 형성하게 되고 비슷한 문제를 지닌 친구들끼리 모여 서로 소속감을 갖기도 한다.

오늘날에 와서는 신체적으로 완전히 성숙한 20대 전후의 청소년들까지도 의미 있는 사회적 활동에 쉽게 수용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사회의 사회구조와 직업구조는 장기간에 걸쳐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요구하기 때문에 ‘아동’도 아니고 ‘성인’도 아닌 ‘청소년’의 기간을 더욱더 연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청소년기를 구분하는 법적 연령은 청소년기본법에 근거하여 만 9세에서 24세이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조원기
  • 연락처 031-887-3582
  • 최종수정일 2023.12.21